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Network] VMware Fusion / Ubuntu 22.04 에서 분산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하기 개요최근 OpenStack 스터디도 하고, Hadoop 실습을 진행하고 있어서 VM에서 network 설정을 해줘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나는 network 라고는 학과 수업 하나를 들은게 다라서 실습에 있어서는 사실상 처음이다. 이번 기회에 network 기본 개념을 익히며, vm과 ubuntu 에서 network 설정을 하는 법을 공부했다.그 과정을 정리하려고 한다. 기본개념network 설정하기에 앞서서 network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아야 한다.network 개념을 전부 다룰 순 없고, 이 포스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만 정리 한 번 하고 가자. network를 생성한다는 것network를 생성한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뭘까? 나는 이렇게 이해했다. '컴퓨터 간 통신할 수 있는.. 2025. 3. 30.
[백엔드] 도메인 간 의존성을 완전 분리시킬 수 있나? 개요집콕 프로젝트 쿼리 최적화를 했던 스터디를 계속 진행중이다. 집콕 프로젝트 쿼리 개선이 만족할만한 결과를 내었다고 판단해서 현재는 '모던 자바 인 액션' 이라는 책을 통해 자바 8,9,10 개념을 공부 중이다. 스터디에서는 책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각자 공부, 프로젝트 활동하면서 겪었던 이슈들을 공유하곤 하는데,어느날에 도메인 간 의존성 분리에 대한 내용이 나왔고, 당시에 토론한 것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상황상황은 다음과 같다. 전체 시스템을 여러 도메인으로 분리해서 다루고 싶었다.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패키지를 분리하고 각 패키지의 클래스 간 호출(의존성)을 없앤다. 그리고 DB에서도 도메인 간 연관관계를 다 끊는다.  즉, 각 도메인을 별도의 VM에 올려도 의존관계에서 전혀 문제가 .. 2025. 3. 30.
[ToHero 백엔드 개발일지] NGINX로 웹 프론트, WAS 요청 분리하기 && 웹 프론트 CICD 환경 구축하기 (근데 저장공간 관련 트러블 슈팅을 곁들인) 개요Tohero 서비스의 프론트는 웹이다. 그래서 서비스 배포를 할 때 정적 파일을 반환하는 웹 서버가 필요했다. 서비스를 한창 개발할 때는, 편의를 위해서 프론트 배포, 백엔드 배포 환경을 따로 해서 각자 진행했었다.  서비스를 배포할 때가 되어서 어떤 식으로 배포를 진행할지 고민을 하다가 2가지 방법을 떠올렸다. 도메인 주소를 하나 더 사서 기존 프론트 배포 서버(WAS랑은 분리된)를 Record로 등록하기현재 WAS가 연결된 도메인 주소에서 NGINX로 요청에 따른 응답 분리하기 현재 DNS 주소가 https://tohero.co.kr 인데 (.com 이름은 이미 누가 사용중이었다...) 새로운 DNS 주소를 또 사는 건 비용적으로나 개발적으로나 안 좋은 것 같아서 하나의 서버로 합치기로 결정했다... 2025. 3. 10.
[ToHero 백엔드 개발일지] 확장성 있는 계층적 데이터 구조에 대한 고찰 개요작년 이맘 때, 나는 내 첫 프로젝트인 집콕을 한창 개발하고 있었다. 백엔드가 처음이기도 했고, 많은 기능들을 한달 조금 넘는 시간동안 개발해야 했기에 성능이나 확장성에 대한 고려를 크게 하지 못했다.   그리고 나서 호기롭게 도전했던 리팩토링... 집콕 서비스를 완성했을 당시, 우매함의 봉우리에 있던 나는 리팩토링 스터디를 하면서 다시 겸손함을 배웠다. 그리고 동시에 큐시즘을 하면서 만난 고수 분들을 통해, '세상은 넓고 천재들은 많다' 라는 진리를 다시금 상기시킬 수 있었다.  잘하는 형들, 멘토분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하면서 나는 백엔드적인 고민을 하는 법을 배웠다. 단순 기능 개발이 전부인줄 알았던 내가 효율적인 설계, 더 나은 코드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3-1 학기를 기점으로 나.. 2025. 1. 25.
[ToHero 백엔드 개발일지] Blue-Green 무중단 배포 with Docker 개요큐시즘에서 만난 좋은 인연 중 한 명인 기획자 형이 같이 서비스 하나 개발해보자고 좋은 제안을 주었다. 근 1년 간 준비했던 우테코 7기에 떨어지고 계획했던 일정들이 날라가면서 공허함을 느끼고 있던 찰나에 다시 열정을 불태워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형 주변에 잘하시는 개발자 분들이 많았던터라 내가 제안을 받았음이 의아하면서도 굉장히 감사했다. 뭔가 위로를 받는 기분이라 카톡 화면을 캡쳐해두었다. (대헌이형, 건우형, 굿머닝.. 큐시즘을 통해 알게된 좋은 인연이 진짜 많은 것 같다) 제안을 받고 한다고 결정했을 때에는 설렘 반, 걱정 반이었다. 나에게 제안을 준 형의 기대를 저버리고 싶지 않았기도 하고 같이 하시는 기획, 디자인, 프론트 분들이 잘하시는 분들이라 내가 민폐를 끼치진 않을까 싶었다... 2024. 12. 26.
우당탕탕 Bulk INSERT 도입기 1. 개요집콕 프로젝트를 리팩토링 하면서 쿼리 최적화를 진행했다.기존 코드에서 쿼리는 stream 내부에서 발생되는 등 무분별하게 사용되었다. 그래서 초창기 집콕 서버를 nGrinder로 성능 측정 해보면 TPS가 엄청 낮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었다. 집콕 서버 리팩토링 스터디를 하면서 손꼽은 문제 중 하나가 쿼리 최적화였고 상반기-여름방학 동안 리팩토링을 진행했다. (리팩토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따로 포스팅으로 다루었다.) RealEstate 도메인 리팩토링Kok 도메인 리팩토링User 도메인 리팩토링쿼리 최적화를 하면서 가장 큰 골칫덩어리는 무분별하게 발생되는 INSERT/UPDATE/DELETE 쿼리들이었다. 집콕에서는 User마다 Kok의 내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처음 User.. 2024. 9. 14.
User 도메인 API 코드 개선 및 쿼리 최적화 - 집콕 서버 리팩토링(3) 7주 차 스터디에서는 User 도메인에 있는 API들에 대해서 코드 리팩토링과 쿼리 최적화를 진행했다. 집콕 서비스는 카카오 로그인을 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아이디/비번을 다루지 않는다. 카카오에서 인증을 마치고 이메일과 회원가입 형식을 입력하면 JWT token을 발급해 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User 도메인에 있는 API는 총 10개로,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를 한차례 진행해보고 나니 API를 이렇게 많이 만들 필요가 없었다는 것을 이제 느낀다. 당시에 만들었던 API 들을 보면, 마이페이지 API, 마이페이지 수정 페이지 API 등 (둘 다 user의 정보를 불러오는 API이다.) 이렇게 비슷한 기능을 하는 API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었다. 둘 다 프론트 경험이 없다 보니 정보를 캐싱.. 2024. 9. 11.
Kok 도메인 API 코드 개선 및 쿼리 최적화 - 집콕 서버 리팩토링(2) 저번에 이어서 계속 코드 리팩토링과 쿼리 최적화에 대한 내용이다. 저번에는 RealEstate 도메인에서 가장 중요한 GET /realEstate 라는 API 에 대해서 리팩토링을 진행했었다. 저번과 마찬가지로 최우선적으로 수정하고자한 부분은 코드의 객체지향화와 발생 쿼리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목표였다. 이번에는 우리 집콕의 핵심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Kok 도메인에 대한 API이다.Kok은 사용자가 발품을 팔면서 느낀점, 사진, 별점, 후기, 체크리스트 등을 등록해두어서, 나중에 다시 보더라도 그때 겪은 느낌을 생생히 다시 전달하여 매물에 대한 비교분석이 쉬워지도록 하는 기능이다. 체크리스트는 사용자 별로 커스텀이 가능하지만 디폴트로 제공되는 항목들이 있어서 매물을 볼 때 어떤 점을 확인해야 .. 2024. 8. 18.
Docker 와 Kubernetes 적응하기 at OSSCA 컴퓨터를 공부하다보면 정말 다양한 프레임워크와 툴들이 존재한다. 그런 것들을 잘 활용하면 많은 이점이 있지만 적응하기까지 조금 시간이 걸린다. Git과 GitHub도 그랬고, Spring Boot 도 그랬다.  이번 2024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를 하면서 나는 ArgoCD에 대한 컨트리뷰션을 해볼 수 있게 되었다. ArgoCD를 이해하기 위해선 배경지식이 필요한데 그것이 Docker 와 Kubernetes 이다. 계속 공부해야지 해야지 하면서 미루다가 2주차 과제로 'Helm을 이용해서 k8s에 이미지 배포해보기' 가 나오면서 더이상 미룰 수 없게 되었다.    Docker 는 큐시즘 29기 백엔드로 활동하면서 사용해본적 있다. 하지만 개념도 모르고 그냥 Dockerfile 복붙해서 GitHub .. 2024. 8. 13.